안동과학대학교 입니다.
보건자료 25-1. 새해결심과 건강 | |||||||||||||||||||||||||||||||||||||||||||||||||||||||||||||
---|---|---|---|---|---|---|---|---|---|---|---|---|---|---|---|---|---|---|---|---|---|---|---|---|---|---|---|---|---|---|---|---|---|---|---|---|---|---|---|---|---|---|---|---|---|---|---|---|---|---|---|---|---|---|---|---|---|---|---|---|---|
작성일 2025.01.06 | |||||||||||||||||||||||||||||||||||||||||||||||||||||||||||||
작성자 보건실 | |||||||||||||||||||||||||||||||||||||||||||||||||||||||||||||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 |||||||||||||||||||||||||||||||||||||||||||||||||||||||||||||
작성자 : 안동과학대학교 동아리 Angel in nurse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새해결심을 세우며 새로운 시작을 다짐합니다. 올해는 더욱 건강한 삶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올바른 새해결심을 통해 건강을 지키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새해가 시작되면 운동을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주 3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말합니다. 빠른 걸음으로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은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올 한 해, 꾸준히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운동은 가장 인기 있는 새해결심 중 하나입니다. 주로 체중 감량, 근육 증가, 심혈관 건강 증진 등을 목표로 합니다. 사람들이 자주 설정하는 운동 목표는 1.헬스장 다니기 또는 홈트레이닝 시작 2.주 3회 이상 유산소 운동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 3.요가나 필라테스를 통한 유연성 향상이 있습니다.
흡연은 건강에 여러 가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심혈관 질환: 담배를 피우면 혈압이 상승하고, 심장에 부담을 주며, 혈관이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심근경색, 뇌졸중, 협심 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2.호흡기 질환: 담배 연기 속의 독성 물질은 폐를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키며, 폐암, 만 성폐쇄성폐질환(COPD), 기관지염, 폐기종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3.조기 노화: 흡연은 피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손상시켜 피부 노화를 촉진합니다. 담배 연기 속의 독성 물질이 피부의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결과적으로 주름과 탄력 저하, 피부 처짐 등이 발생하게 만듭니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금연을 결심합니다. 그러나 금연은 결코 쉽지 않은 목표로, 많은 사람들이 몇 주 또는 몇 달 지나지 않아 다시 흡연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2025년에는 금연에 성공하고 건강한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실천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1.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라 2.금연 계획을 세우고, 지원받기 3.실수해도 포기하지 말고 다시 시작하라.
새해에는 건강 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것도 중요한 결심입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초기 질병을 발견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만성 질환이나 유전적 질병이 있는 경우,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예방"이라는 사실을 명심하세요.
매년 새해가 시작되면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한 결심을 합니다. 운동, 식습관 개선, 체중 감량 등 다양한 목표를 세우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결심을 며칠만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작심삼일" 현상인데요, 이를 방지하고 꾸준히 실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작은 목표 설정, 성취감을 느껴라 새해결심을 너무 거창하게 세우면 목표가 너무 부담스러워져 쉽게 포기하게 됩니다. "매일 1시간 운동", "하루 3끼 다이어트 식사"와 같은 큰 목표보다는 "주 3회 20분 걷기", "하루 한 끼 채소 추가하기"처럼 작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해보세요. 작은 목표를 달성하면 성취감이 생기고, 점차 더 큰 목표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2. 습관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새해결심을 한 번의 "결심"이 아닌 "습관"으로 만들면 더욱 지속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운동을 결심했다면 "하루 10분 스트레칭"을 먼저 시작해보세요. 꾸준히 작은 운동을 일상에 포함시키다 보면, 그것이 자연스러운 습관이 되어 더 이상 부담스럽지 않게 됩니다.
3. 목표 시각화하기 구체적인 목표를 시각화하면 더욱 동기부여가 됩니다. 예를 들어,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한다면, "3개월 후 5kg 감량"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해보세요. 목표를 눈에 띄게 적어두고 자주 확인하면 더 의지를 다질 수 있습니다.
출처 : 질병관리정보청 (www.kdca.go.kr) 국민국민건강보험공단 (www.nhis.or.kr) 한국건강관리협회 (www.kahp.or.kr)
|